한글은 왜 언어가 아닌 과학으로 불리는가

 

10월은 다른 달에 비해 국경일이 많다. 그중 10월 3일 개천절과 10월 9일 한글날. 특히나 한글날은 1991년 이후 공휴일에서 제외되었다가 지난해부터 다시 공휴일로 지정돼 왠지 더 반갑기만 하다. 한글 창제를 기념하고 우리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국경일 ‘한글날’. 이번 한글날은 단순히 하루 쉬는 날이 아닌 우리 한글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 한글이 어떻게 만들어졌고 또 한글 창제가 역사적, 과학적으로 어떤 우수성을 지니고 있는지 지금부터 한글의 놀라운 세계 속으로 빠져보자.

 

 

 

세종대왕의 큰 선물 ‘훈민정음’

 

세종대왕은 백성들이 말은 할 수 있어도 글을 알지 못하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한글을 창제했다는 사실은 누구나 다아는 사실. 하지만 그 한글이 세상에 나오기까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노력과 시간이 있었는지 아는 이들은 드물다. 세종대왕은 일단 목표를 세우면 철저하게 준비하고 단계별로 치밀하게 진행하는 것을 추구했던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한글 창제에서도 그의 리더십과 국정 능력은 빛을 발한다. 신하들의 반대가 적지 않았지만 그 뜻을 굽히지 않고 집현전 학자들을 중심으로 무려 20여 년 동안이나 연구를 거듭했다고 한다. 1443년, 우리의 고유문자이며 표음문자인 한글을 완성했고 이후 3년의 검증을 거쳐 1446년, 17자의 자음과 11자의 모임으로 구성된 훈민정음을 반포하게 된다.

shutterstock_100368236

 

 

한글 창제의 시작은 음악공부에서 시작됐다?

 

음악에도 조예가 깊었던 세종대왕. 음악을 공부하다가 소리가 어떻게 나는지 소리의 이치에 대해 연구를 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훗날 한글 창제의 발걸음이 되었다고 한다. 발음에 따라 입모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끝없는 연구를 한 끝에 14개의 자음과 10개의 모음을 발견하게 된 것! 이로써 소리와 문자가 일치하는 우수한 한글이 탄생할 수 있었던 것이다.

 

shutterstock_132765290

 

 

 

한글은 과학이다

 

단순한 언어가 아닌 과학으로 불리는 ‘한글’ 한글이 전 세계적으로 그 과학적 우수성을 인정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1. 만든 목적이 분명하고 만든 사람과 만든 시기가 분명한 글자는 한글이 세계적으로 유일하다.
2. 제자(制字)원리의 과학성이 뛰어나다. 홀로 소리를 내는 ‘홀소리’와 홀소리에 닿아야 소리를 내는 ‘닿소리’로 구분되었다.
3. 음소(音素) 문자이다. 봄을 ㅂ ㅗ ㅁ이라 나열하지 않고 봄 이라고 묶어서 쓰는 방식이다. 때문에 비슷한 수의 철자로 음절문자보다 많은 단어 조합이 가능하다.
4. 아주 많은 발음을 표기할 수 있다. 일본은 트럭을 ‘도라꾸’. 선생을 ‘센세’. 컵을 ‘고뿌’라고 발음하고 표기한다. 하지만 우리 한글을 많은 외국어를 원음에 가깝게 표기할 수 있다.
5. 소리와 문자가 언제나 일치한다. 영어에는 dumb, film, knife 등 묵음이 존재한다. 하지만 우리 한글에는 묵음자가 없다.
6. 독창적인 언어이다. 한문의 모방 문자인 일본의 문자는 한문 없이는 독자적인 사용이 불가능하지만 한글은 한문없이도 사용이 가능하다.

 

20140929_한글은왜 (1)

 

 

 

10월 9일 한글날 개관하는 ‘국립한글박물관’

 

한글의 독창성과 과학적 가치를 직접 느끼고 온몸으로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인 <국립한글박물관>이 10월 9일 한글날 개관한다. 한글과 관련된 다양한 전시와 공연, 행사가 개최되며 한글 창제 이전과 창제 과정, 그 이후의 모습까지 한 눈에 볼 수 있는 교육 체험실도 갖춰있어 아이들과 함께 둘러보면 교육적으로도 의미있는 시간이 될 것이다.

 

국립한글박물관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전화: (02) 2124-6200

홈페이지: http://www.hangeul.go.kr

 

 

 

맞춤법, 자신 없다면 국립국어원에 물어보세요~

 

PC, 스마트폰이 빠르게 보급되면서 문자를 글로 접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일상생활에서 SNS나 메일 등에 글을 쓸 때 순간순간 맞춤법이나 띄어쓰기가 헷갈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땐 당황하지 말고 국립국어원에 물어보자. 전화와 온라인 게시판, SNS 트위터에서 실시간으로 맞춤법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해 준다.

 

가나다 전화 1599-9979
온라인 http://www.korean.go.kr
트위터 http://twitter.com/urimal365

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