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질환 시리즈③] 잘 조율되지 않은 현악기와 같은 환자들, 조현병

 

각종 영화나 뉴스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정신 질환이 있다. 바로 정신분열증 즉, 조현병이다. 조현병은 정신분열증을 개명한 것으로 잘 조율되지 않은 현악기와 같이 혼란스러운 모습을 보인다고 하여 이름 붙여졌다. 지난 5월 강남역 화장실 살인사건의 범인이 조현병을 앓고 있다고 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조현병이란 무엇일까?

 

 

 

조현병이란?

뇌는 인간의 정신, 신체적 기능을 조절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뇌에 이상이 생기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중 조현병은 사고, 감정, 지각, 행동 등 인격의 여러 측면의 이상을 일으키는 정신 질환으로 뇌질환과 뇌장애가 발생한 상태를 말한다.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조현병

조현병은 한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 아니다. 크게 생물학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생물학적 요인 중에서는 유전, 즉 가족이나 혈연관계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일반인이 조현병에 걸릴 수 있는 확률은 약 1% 정도인데, 1차 직계가족이 조현병일 경우엔 10%, 2차 직계가족도 일반인보다 높은 확률로 조현병에 걸린다고 알려져 있다. 쌍둥이의 경우 한 쪽이 조현병에 걸렸을 경우 다른 한 쪽이 걸릴 확률은 무려 40~65% 정도나 되었다. 하지만 유전적인 성향이 조현병 발병의 유일한 원인은 아니다.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조현병이 발병하며, 유전적 요인이 있다 해도 여러 가지 환경에 따라 발병이 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다.

 

Happy kids with big book wearing black glasses

 

또한 신경전달 물질인 도파민과 세로토닌이 불균형을 보일 때 조현병이 나타날 수 있으며, 뇌척수액을 담고 있는 뇌실의 크기가 일반인보다 크거나, 일부 뇌 부위의 대사가 감소되어 있는 경우, 일반인과 뇌세포의 차이를 보이는 경우 등에서 조현병이 발병할 수 있다.
이러한 생물학적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요소가 바로 환경적 요인이다. 환자의 출생 전후, 성장 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해 조현병 발병이 결정될 수 있다. 조현병의 발병은 환경적 요인보다 생물학적 요인이 좀 더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조현병_그래프

□ 산출조건(조현병)
상병코드: F20 / 심사년월: 2013-2015년 / 지급구분: 지급(심사결정분) / 약국 및 한방제외
□ 제공: 심평원 홈페이지(www.hira.or.kr) >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
※ 상병별 심사현황은 요양기관에서 환자진료 중 진단명이 확실하지 않은 상태에서 환자의 호소, 증세에 따라 일차 진단명을 부여하고 청구함으로써 실제 최종 확정 진단명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5년 조현병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106,187명이었다. 2013년 102,772명, 2014년에는 104,099명으로 환자가 늘었으며 2015년까지 증가세를 보이며 매년 환자 수가 점점 늘어남을 알 수 있다.
2015년 연령대별 진료 인원을 살펴보면 40대가 28.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30대가 21.0%, 50대가 20.5%로 뒤를 이었다.

 

 

 

조현병의 네 가지 증상

조현병의 증상은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양성증상은 건강한 사람에게서 발견할 수 없는 비정상적이고 괴이한 정신병적 증상을 말한다. 환청, 환시와 같은 감각 이상, 비현실적이고 기괴한 망상과 같은 생각 이상, 생각의 흐름에 이상이 생기는 사고 과정 장애 등이 대표적인 양성증상이다.

 

man with white mask

 

두 번째는 음성증상이 있다. 정상적인 감정반응 및 행동이 줄어들고 둔한 상태가 되며, 사고 내용의 빈곤, 의욕 감퇴, 사회적 위축 등의 증상이 음성증상이다. 상황에 맞지 않은 감정 표현을 하다가 점점 감정 표현이 줄어들고 마치 가면을 쓴 듯 무표정에 가깝게 변한다. 또한 일상적인 생활이나 식사 예절, 위생 관리 등이 어려워지는 등 남들이 보기에 게으르고 답답한 모습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세 번째는 인지증상이다. 집중력 유지가 어렵고 새로운 정보의 학습이나 자신의 생각 정리를 하지 못하는 증상을 보인다. 기억력과 문제해결능력의 감소를 보이며 추후 사회적, 직업적 기능을 감퇴시켜 실직으로 인해 좌절을 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위의 세 가지 증상이 가장 심한 단계를 벗어나면 잔류기에 접어들게 된다. 이때는 음성증상과 인지증상이 주로 나타나며 이러한 증상들로 인해 환자가 일상생활을 어려워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Doctor taking hand to her patient in medical office

 

조현병의 치료 방법

조현병의 원인이 다양한 만큼 치료법도 다양하지만 그중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치료법은 약물치료다. 항정신병 약물을 복용하면 환자들의 급성기 증상의 상당 부분이 호전된다고 한다. 이와 함께 심리 사회적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좋다. 급성기 증상이 호전된 후에도 환자들은 직업, 자아실현, 대인관계 등으로 고통을 받기도 한다. 이때 심리 사회적 치료를 통해 직장이나 학교, 사회생활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우고 꾸준히 약물 복용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도 한다.